본문 바로가기

유니티

유니티 캐릭터 애니메이션 주는 방법 유니티 캐릭터 애니메이션 주는 방법은 1. 이미지 파일을 씬에 드래그앤 드랍을 해서 객체화 시킨다. 2. Hierarchy 창에서 방금생성된 오브젝트(애니메이션을 적용할 객체)를 클릭 후 3. 상단 파일 메뉴의 Window - Animation - Animation 을 클릭하면 Animation 창이 나온다. 4. Animation 창이 좀 좁게 되어 있다면 옆으로 넓혀줘야 작업이 용이 하다 5. Create 버튼 클릭 후 저장할 폴더 지정 및 파일명을 누르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create이 된다. 6. 애니메이션을 만들 이미지를 프로젝트창의 애셋 폴더에 넣어준 후 움직임을 줄 여러개의 이미지를 클릭 후 드래그 앤 드랍 7. 파란색 부분을 조절하여 적당한 반복 움직임 값을 지정해주면 끝! (만약 밑의 .. 더보기
유니티 좋은 에셋스토어들 유니티는 공식 에셋스토어만 있을 줄 알았는데, 그 외의 에셋스토어들도 있다. 1. 공식 에셋스토어 https://assetstore.unity.com/ 에셋스토어 여러분의 작업에 필요한 베스트 에셋을 찾아보세요. 유니티 에셋스토어가 2D, 3D 모델, SDK, 템플릿, 툴 등 여러분의 콘텐츠 제작에 날개를 달아줄 다양한 에셋을 제공합니다. assetstore.unity.com 2. itch.io https://itch.io/ Download the latest indie games itch.io is a simple way to find, download and distribute indie games online. Whether you're a developer looking to upload your.. 더보기
유니티 오브젝트(Object)와 컴포넌트(Component)의 차이와 개념 오늘 강사님께 배우길, 오브젝트와 컴포넌트의 차이를 정확히 안다면 유니티가 정말로 쉬워질 것이고 정확히 모른다면 어려워질 것이라는 부분을 듣게 되고 배우기도 했다 그런데 나중에 내가 까먹을 수 있기 때문에 기록을 해두려 한다. 오브젝트와 컴포넌트의 차이 아래 그림의 파란색 : Hierarchy 창의 오브젝트(Object) 아래 그림의 빨간색 영역 : Inspector 창의 컴포넌트(Component) 오브젝트는 Hierarchy창에 있는 모든 것들을 모두 뜻하며, 각각의 객체들을 뜻한다. 반명 컴포넌트는 오브젝트의 속성들을 지정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한데, 예를들어 고양이가 오브젝트 라면, 컴포넌트는 고양이의 생김새, 크기, 움직임 등등을 표현하는 속성 값들 하나하나를 컴포넌트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렇.. 더보기
유니티 컴포넌트를 잘못 넣었을 때 오류 오답을 진행했던 프로젝트 : 플래피 버드 계층 창(하이어라키 창)의 PillarDown 에 Pipe.cs 스크립트를 잘 붙여 놓은 상태 Pipe.cs 에는 public GameManager _gameMgr; 위 라인을 사용하여서 결국 하이어라키창의 PillarDown 객체의 Pipe.cs 컴포넌트에 GameManager 객체를 넣어야 하는데 실수로 GameManager 객체 가 아니라 GameManager.cs 파일을 PillarDown 객체에 컴포넌트 추가를 해버렸음; 그래서 강사님과 줌으로 화면공유를 했고, 추가한 GameManager.cs 컴포넌트를 삭제하고 PillarDown 객체의 Pipe.cs 컴포넌트에 GameManager 객체를 추가해줘서 위의 소스의 _gameMgr 와 연결해주어서 사용 .. 더보기
1일 1공부를 위한 티스토리 달력 탑재! 유니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개발자들의 삶을 배우려고 하다보니 깃허브 1일 1커밋 운동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근데 지금 내가 깃허브를 어느정도 다룰 수 있는 스킬은 있지만, 유니티 프로그래밍 특성상 유니티 관련된 기술이나 그림들은 깃허브에 올리는 것이 그리 효율적일 것 같지 않아 티스토리로 정리해서 작성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깃허브에 1일 1커밋을 하면 표시해주는 화면이 티스토리에는 기본적으로 달려 있지 않아 내가 공부를 한다는 것을 증명할 길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구글링을 해봤고 유용한 정보를 찾아서 실제로 적용해보니 아주 잘된다. 쉽고 간단하니 누구나 따라할 수 있다 1.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홈(관리자 메뉴) - 좌측 메뉴 꾸미기 - 스킨 편집 2. 스킨에 따라 다르겠지만 왼쪽이나 오른쪽에 나오는 .. 더보기
유니티 프로젝트 + 레이아웃 백업 방법 유니티를 외부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하다가 백업 후 집에 적용하는 방법 위 2개의 폴더만 압축 후 집에 가져와서 아무 이름으로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어준 후 풀어주면 프로젝트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하이어라키(계층)창에 객체가 불러와 있지 않으므로 [File] - [Open] 으로 프로젝트 이름\Assets\[Scene이름].unity 파일을 가져오면 불러오는 작업이 완벽히 마무리 된다. 그리고 작업환경 중 하나인 레이아웃을 불러오는 방법은 아래 그림처럼 유니티 작업화면 중 최상단 맨 오른쪽에 Layout 이라는 드롭다운 메뉴가 있는데 클릭 후 Save Layout to File 버튼을 눌러서 파일로 저장 후 같이 백업한 후 집에 와서 Load Layout from File 을 눌러서 적용해주면 된다 더보기